아름다운 친구글방

관자(管子)-183 五輔篇

菊亭 최옥순 2013. 5. 2. 06:38

관자(管子)-183 五輔篇
정치에 요구되는 다섯가지 조목

八經-2

八者各得其義 팔자각득기의
여덟가지가 그 예의를 얻게 되면

則爲人君者 中正而無私 즉위인군자 중정이무사
군주가 된 사람은 중정하게 되어 사사로움이 없고

爲人臣者 忠臣而不黨 위인신자 충신이불당
신하가 된 사람은 성실과 신의가 있어 편벽되지 않고

爲人父者 慈惠以敎 위인부자 자혜이교
아버지는 자애와 은혜로 교육하고

爲人子者 孝悌以肅 위인자자 효제이숙
자식은 효도하고 공경하여 엄숙하고

爲人兄者 寬裕以誨 위인형자 관유이회
형은 관대하고 온유하게 타이르고

爲人弟者 比順以敬 위인제자 비순이경
아우는 화순하여 공경하고

爲人夫者 敦懞以固 위인부자 돈몽이고
남편은 돈후와 충성으로 한결 같고

爲人妻者 勸勉以貞 위인처자 권면이정
아내는 권면하여 정절을 지킨다

夫然則下不倍上 부연즉하불배상
이러한 연후에 아랫 사람은 윗사람을 배반하지 않으며

臣不殺君 賤不踰貴 신불살군 천불유귀
신하는 군주를 시해하지 않고 천한이는 귀한 이를 넘보지 않고

少不陵長 遠不閒親 소불능장 원불간친
젊은이는 어른을 능멸하지 않고 소원한 이는 친한이를 이간질 하지 않고

新不閒舊 小不加大 신불간구 소불간대
신임자가 구임자를 이간하지 않고 작은 것이 큰 것을 능멸하지 않고

淫不破義 음불파의
무절제한 것이 의로운것을 파괴하지 않는다

凡此八者 禮之經也 범차팔자 예지경야
무릇 이 8가지는 예의 상법이다

夫人必知 禮然後恭敬 부인필지 예연후공경
사람은 반드시 예의를 안 후에야 공경을 하게 되고

恭敬然後尊讓 공경연후존양
공경한 뒤에야 존경하고 양보하게 되며

尊讓然後 존양연후
존경하고 양보한 뒤에야

少長貴踐 不相踰越 소장귀천 불상유월
젊은이와 어른과 귀한 이와 천한 이가 서로 넘나들지 않으므로

故亂不生而患不作 고난불생이환부작
고로 어지러움이 생기지 않고 환난이 일어나지 않는다

故曰禮不可不謹也 고왈예불가불근야
고로 말하기를 "예는 삼가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