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친구글방

관자(管子)-209 宙合篇

관자(管子)-209 宙合篇
천지만물의 조화 법칙

鳥飛准繩

鳥飛准繩 조비준승
"새가 날으는 것을 법도로 삼는다"

此言大人之義也 차언대인지의야
이 말은 위대한 인물의 의리를 말한 것이다

夫鳥之飛也 必還山集谷 부조지비야 필환산집곡
무릇 새는 날아서 산을 돌아 반드시 골짜기에 이른다

不還山則困 不集谷則死 불환산즉곤 부집곡즉사
산을 돌지않으면 곤란하게 되고 골짜기에 이르지 않으면 죽게 된다

山與谷之處也 산여곡지처야
산과 골짜기에 처할 때

不必正直 而還山集谷 불필정직 이환산집곡
반드시 곧 바로 오지는 않지만 산을 돌아 모일 때

曲則曲矣 而名繩焉 곡즉공의 이명승언
돌고 도는 방향은 곧 바르다 이것을 먹줄이라 이른다

以爲鳥起于北 이위조기우북
새는 북쪽에서 시작하여

意南而至于南 의남이지우남
남쪽으로 날아가려고 하면 남쪽에 도달하게 되고

起于南意北而至于北 기우남의북이지우북
남쪽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날아가려고 하면 북쪽에 도달하게 되는데

苟大意得 不以小缺爲傷 구대의득 불이소결위상
진실로 큰 뜻을 얻게 되면 조그만 문제는 방해되지 않는다

故聖人美而著之 曰 고성인미이저지 왈
고로 성인이 이를 찬미하여 저술하여 말하기를

千里之路 不可扶以繩 천리지로 불가부이승
"천리 길은 승으로 할 수 없고

萬家之都 不可平以准 만가지도 불가평이준
만호의 큰 도읍은 수준기로 평평하게 할 수 없다"고 했다

言大人之行 不必以先帝 언대인지행 불필이선제
위대한 사람의 말과 행동은 반드시 선례나 변하지 않은 규칙을 표준으로 하지 않으니

常義立之謂賢 상이입지위현
의리를 확립할 수 있어야 현명하다고 할 수 있다

故爲上者之論其下也 고위상자지논기하야
고로 군주가 신하를 논할 때에는

不可以失此術也 불가이실차술야
이러한 수법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름다운 친구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자(管子)-211 宙合篇  (0) 2013.10.08
관자(管子)-210 宙合篇  (0) 2013.10.03
관자(管子)-208 宙合篇  (0) 2013.09.29
관자(管子)-207 宙合篇  (0) 2013.09.27
관자(管子)-206 宙合篇  (0) 2013.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