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자(管子)-210 宙合篇
천지만물의 조화 법칙
讂充末衡-1
讂充 言心也 必心欲忠 현충 언심야 필심욕충
현충은 마음을 말하는 것인데 마음이 진실하고저 하는 것이다
末衡 言耳目也 말형 언이목야
말형은 귀와 눈을 말하는 것인데
耳目谷端 이목곡단
귀와 눈을 단정히 하려는 것이다
中正者 治之本也 중정자 치지본야
중정이라는 것은 다스림의 근본이다
耳司聽 聰必順聞 이사청 총필순문
귀로 들을 때는 반드시 사실대로 들어야한다
聞審謂之聰 문심이지총
들음이 자세한 것을 귀밝음이라고 한다
目司視 視必順見 목사시 시필순견
눈은 보는 것인데 볼때는 반드시 사실대로 보아야한다
見察謂之明 견찰위지명
보는 것이 자세한 것을 밝음이라고 한다
心思慮 慮必順言 심사려 려필순언
마음은 생각하는 것인대 생각은 반드시 언어의 법칙에 맞아야 하며
言得謂之知 언득위지지
언어가 올바름을 얻은 것을 지혜라고 한다
聰明以知 則博 총명이지 즉박
"총명함과 지혜로 오롯이하고
博而不惛 所以易政也 박이불혼 소이이정야
오롯이 하여 어둡지 않으면 정치를 함께 다스릴 수있는 것이다
政易民利 정이민이
정치가 쉽게 이루어지면 백성을 이롭게 할 수 있다
利乃勸 이내권
백성을 이롭게하면 백성은 생산에 힘쓰게 되고
勸則吉 권즉길
백성이 생산에 힘쓰게 되면 나라에 길하다
聽不順 不審不聰 청불순 불심불총
듣는 것을 사실대로 듣지 않으면 귀가 밝지 않을 것이다
不審不聰 則繆 불심불총 즉류
자세히 듣지 않아 귀가 밝지 않으면 착오가 생기게 된다
'아름다운 친구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자(管子)-212 宙合篇 (0) | 2013.10.09 |
---|---|
관자(管子)-211 宙合篇 (0) | 2013.10.08 |
관자(管子)-209 宙合篇 (0) | 2013.10.02 |
관자(管子)-208 宙合篇 (0) | 2013.09.29 |
관자(管子)-207 宙合篇 (0) | 2013.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