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자(管子)- 幼官篇
군주의 일상생활과 정치
유관이라는 편명은 본문의 내용과 그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유관은 천자가 정교를 펼치는 장소(明堂)인 현궁(玄宮)과 글자가 비슷하므로
현궁이 편명이 되어야 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다른 견해로는 이 편의 내용이 군주의 일상생활과 정치를 하는 방식 관직의 명칭을
五行의 이치로 서술하기 때문에 五官의 잘못된 표기로 보기도 한다.
<춘추좌씨전>소공 17년의 주해나 <관자>의 다른 편인 치미(侈靡)편에도
五官이 나오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에 무게를 더하고 있다.
若田夜虛 守靜人物 약전야허 수정인물
마치 밤의 정적을 지키는 사람과 같이
人人物物則黃 인인물물즉황
사람이 사랍답고 사물이 사물 다우면 마음이 한가해 진다
五和時節 君服黃色 오화시절 군복황색
다섯가지 기운이 조화되는 늦여름에 군주는 황색옷을 입고
味甘味 聽宮聲 미감미 청궁성
감칠맛나는 음식을 먹고 궁성의 음악 소리를 듣고
治和氣 用五數 치화기 용오수
조화된 기운을 다스리며 오행의 수리를 응용하며
飮於黃后之井 음어황후지정
중앙의 샘물을 마셔 보고
以裸獸之火爨 이라수지화찬
짐승의 가죽을 벗긴듯 시뻘건 중앙이 불로 밥을 지으며
藏溫濡 장온유
따뜻하게 저장된 온화한 마음을 지키어
行敺養 坦乘修通 행구양 탄승수통
달관한 행동을 수양하여 평탄하고 너그러운 기가 몸을 관통하면
凡物開靜 形生理 범물개정 형생리
무릇 만물이 한가로이 안정되며 몸이 생장하고 다스려진다.
'아름다운 친구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자(管子)-幼官篇 (0) | 2012.11.15 |
---|---|
관자(管子)-幼官篇 (0) | 2012.11.01 |
관자(管子)- 版法篇 政治의 要體 (0) | 2012.10.19 |
관자(管子)-七法篇 選陳 (0) | 2012.10.09 |
매화 작품을 준비하면서...화제 글을 이곳에 올려 놓고 읽어 본다 (0) | 2012.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