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장구(中庸章句)
제14장 정명론(正名論)
윗자리에 있으면서
在 上 位 하여 不 陵 下 하며 在 下 位 하여 不 援 上 이요
正 己 而 不 求 於 人 이면 則 無 怨 이니
上 不 怨 天 하여 下 不 尤 人 이니라
*陵- 언덕 능. 업신여길 능. *援- 도울 원. 당길 원. *尤- 더욱 우. 허물 우.
윗자리에 있으면서 아랫사람을 능멸하지 아니하여,
아랫자리에 있으면서 윗사람을 끌어당겨 내리지 아니하며,
자기를 바르게 하고 남에게 구하지 않으면 원망이 없는 법이니,
위로는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아래로는 남을 허물하지 않느니라.
이것은 그밖의 것을 바라지 않는다는것을 말씀하셨다.
(此 言不願乎其外也)
해설
중용이 제시하는 이상적 모델은 그것을 먼데서 구하지 말고,
나를 바로잡고 남에게서 구하지 말며,
하늘을 원망하거나 남을 허물하지 말라는,
철저한 자기 성찰만이 본질적인 접근임을 논했다.
그러므로 군자는
故 로 君 子 는 居 易 以 俟 命 하고 小 人 은 行 險 以 요 幸 이니라
*요(邀책받침換척변)- 구할 요.맞을 요. 돌아다닐 요. 변방 요.
*俟- 기다릴 사.
그러므로 군자는 평탄한 도리로 살며, 그리고 천명을 기다리고,
소인은 위험한 것을 행하며, 그리고 요행을 생각한다.
이는 평지이며, 거이는 현재의 위치에 따라 행함이며,
사명은 밖의 것을 바라지 않는 것이며, 요는 구하는 것이요,
행은 이른바 부당한 소득을 얻는 것이다.
(易 平地也, 居易 素位而行也, 俟命 不願乎外也, 요 求也幸 謂所不當得而得者)
해설
군자는 항상 평이한 방식으로 살면서 천명을 겸허하게 기다리나,
소인은 인생의 성패를 위험한 것에 걸고 있으니,
문제는 그 쉬운 일에서 그 성패의 기미를 읽어내는 지혜가 부족한데 있다는 교훈이다.
'아름다운 친구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구(推句) (0) | 2012.08.26 |
---|---|
<칠석과 관련된 생활 풍습> (0) | 2012.08.24 |
중용장구(中庸章句 (0) | 2012.08.12 |
관자(管子)- 乘馬篇 陰陽 (0) | 2012.08.03 |
관자(管子)- 立政篇-七觀 (0) | 2012.07.26 |